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WM

버저(Buzzer)로 음악 연주하기 2023. 6. 6. 음악을 연주한다는 것은 어떤 높이의 소리를 어떤 길이로 내는 것을 연달아 이어 놓은 것입니다. 소리의 높이라는 것은 주파수를 달리함으로써 만들어 내게 됩니다. 소리라는 것은 공기의 떨림인데, 정해진 시간 동안 공기가 더 많이 떨리게 하면 높은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버저에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인가하면 다른 소리가 나는 이유입니다. 이런 서로 다른 높이의 소리를 얼마나 길게 내느냐에 따라 음악은 또 달라지게 됩니다. 내친김에 버저로 간단하게 음악을 연주하게 만들어 봅시다. 예, 한 20년 전에는 버저로 벨소리를 만들었으니까요. 물론 버저의 특성이 모든 가청 주파수(audible frequency)에 일정한 것이 아니라서 깨끗하고 맑은 음악은 아니겠지만, 가락을 만들어 낼 수는 있을 것입니다. 소리의 높이.. 더보기
버저(Buzzer) 울리기 - 피에조 버저(Piezo Buzzer)의 구동 2023. 5. 7. 요즘의 휴대전화기는 실제 음원을 사용하여 벨소리를 만들지만, 아주 오래 전의 휴대전화기들은 버저(Buzzer)를 이용해서 벨소리를 만들었습니다. 그때의 버저음이 생각이 나서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에 버저를 연결해서 삑삑거리는 것을 해 볼까 생각을 하면서 살펴보다 보니 버저에 대해서 생각해 보지 않았던 것들이 많이 있더라고요. 버저를 울리기 전에 버저 자체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시작해 볼까 해요. 일반적으로 버저(Buzzer)는 마그네틱 버저(Magnetic Buzzer)와 피에조 버저(Piezo Buzzer)로 나뉩니다. [1] 마그네틱 버저는 전자석에 의해서 자성체가 끌려오는 윈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전자석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인덕턴스로 모델링이 됩니다. 때.. 더보기
아날로그(Analog)의 표현 PWM (Pulse Width Modulation) 2022. 12. 27. LED는 정방향전류($V_F$)를 조절함으로써 그 밝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정방향전류를 조절하는 방법은 옴의 법칙에 따라서 전압을 조절하거나 전류 제한을 위한 저항을 조절하면 되겠죠. 예전 글에서 가변 저항을 사용하여 LED의 밝기를 조절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컴퓨터로 조절을 해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라즈베리 파이에서 GPIO를 제어해 본 적이 있지만,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미니 컴퓨터든 단일칩 마이크로 컨트롤러든 GPIO는 켜짐과 꺼짐, 2가지의 전압 밖에 출력을 할 수가 없는데요. 더욱이 컴퓨터로 저항(resistance)을 직접 조절할 수는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빠르게 LED를 껐다 켰다를 반복하되 밝게 켜고 싶을 때에는 켜는 시간을 길게, 어둡게..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