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ExternalBatteryPack

폐품의 재활용 - 보조배터리팩 회로를 재활용한 충전식 손전등 만들기 2022. 5. 14. 폐품 보조배터리팩을 살펴보면서 너무 사설을 길게 끈 것 같습니다. 너무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었을 것 같네요. 앞으로는 쓸데없이 길게 설명을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폐품이 된 보조배터리팩을 분해도 해 보았고요, 내부는 알 필요 없이 블랙박스(Black Box)로서 활용하기 위해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그럴 필요까지는 없을 던 것 같은데 말이죠. 처음에는 그냥 수명 다한 배터리 교체하고 적당한 새 케이스 찾아 사용하려고 했었는데, 5V 출력을 활용해서 고휘도 LED를 밝혀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충전할 수 있는 손전등이 되는 것인데요. 우리의 블랙박스 회로의 5V 출력에 전에 만들어 놓았던 LED 모듈 연결하면 되겠지요. 배터리는 18650 리튬이온 배터리 2개를 병렬로.. 더보기
폐품의 재활용 - 보조배터리팩(External Battery Pack) 더 살펴 보기 2022. 5. 11. 지난 포스트는 회로도를 읽는 것을 위해 잠시 하던 이야기를 벗어나서 GND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계속해서 살펴보던 폐품 보조배터리팩(External Battery Pack)을 계속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조배터리팩 회로기판의 3.7V 전지가 연결되었다고 가정하고 3.7V를 인가했을 때, 5V를 출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내친김에 일전에 만들어 두었던 LED 모듈을 연결을 해 보았습니다. 5V 전원으로 만들었던 LED 모듈을 켜면 약 160mA가 소모되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런데 여기에서는 3.7V 전원을 보조배터리팩 회로를 통해서 공급했더니 약 310mA 소모가 되네요. 전압을 변환하는 것도 에너지 변환의 한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림에서 공급되는 전력(Power)과 LED에서 소모되는 .. 더보기
폐품의 재활용 - 블랙박스로서의 보조배터리팩 회로기판 (External Battery Pack Circuit as a Black Box) 2022. 5. 4. 초등학교 때, 처음 수학을 배우기 시작할 때 이런 그림 보았던 기억이 나시나요? 저 상자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는 없지만, 어쨌든 무엇인가 넣으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출력을 내어 놓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내부의 원리는 알 수 없지만, 기능은 알고 있는 장치를 블랙박스(Blackbox)라고 합니다. 여기에서는 우리 집 차에 달려 있는 녹화장치(정확하게 이 장치는 차량용 녹화장치, 또는 Car DVR이라고 부릅니다)나 비행기의 비행기록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분해한 폐품 보조배터리팩도 굳이 내부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재활용은 할 수 있습니다. 대략 어떤 부품들이 들어 있는지나 살펴볼까요? 오른쪽 아래에 있는 DC-DC 컨버터(DC-DC Converter)라고 표시한 부분은 .. 더보기
폐품의 재발견 - 보조배터리의 분해 (Disassembly of an External Battery Pack) 2022. 4. 30. 주변에 못 쓰게 된 물건, 특히 전자 제품이 있으면 뜯어보고 싶은 충동이 생깁니다. 어차피 버릴 것이니까요. 뜯었다가 망가져도 뭐 그냥 버리면 되지요, 뭐. 서랍을 뒤지다 보니 이런 것이 나오네요. 지금들 사용하는 것과는 많이 비교되지만, 보조배터리(External Battery Pack)입니다. 아마 10년쯤 전에 사용하던 것 같아요. USB 5V 뿐만 아니라 솔라패널(Solar Panel)로도 충전할 수 있게 해 놓았네요. 이젠 제대로 보조배터리 역할도 못 하고 쓸모 없어져서 서랍에 쳐 박아두었던 것 같습니다. 어떻게 어떻게 열어 보니 이렇게 생겼네요. 빈자리는 원래 배터리가 붙어 있던 자리입니다. 원래 있던 배터리는 수명이 다 되어서 떼어 내 버렸습니다. 배터리가 연결되어 있는 사진을 찍지 못했어요..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