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을 즐겁게/누구나 취미전자공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위치로서의 MOSFET 2022. 12. 20. 라즈베리 파이 GPIO의 Driver Stength에 대해서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디지털 신호를 나타내는 GPIO에 부하가 가해져서 그 전압이 떨어지면 원하는 동작을 예측하기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원하는 동작을 제대로 만들어 낼 수가 없습니다. 전자회로를 꾸밀 때에는 모든 상황을 내가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전류가 어느 정도 되는 필요한 부하를 연결할 때에는 직접 GPIO에 연결하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는 아닌 것이죠. 소스의 전압이 마구 떨어져 버릴 테니까요. 그러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림 같은 장치가 있으면 참 좋겠는데요. 그림처럼 스위치를 켜는 신호를 주면 스위치를 연결해 주고, 그렇지 않으면 스위치를 끊어주어서 전원이 연결되었다가 끊어졌다가 하.. 더보기 FPL 모양 LED 조명 분해해 보기 2022. 12. 5. 한동안 생업에 치여 있었습니다. 그렇게 지내고 나니 만사가 귀찮아지는군요. 이렇게 한 번 치이고 나면 심신이 지쳐 버리는 것은 지금까지 월급쟁이 생활을 하면서도 변하지 않는군요. 그래도 정신을 다잡아야 다시 앞으로의 생활에 힘을 넣을 수 있겠죠. "FPL LED 형광등"이라고 쇼핑몰에 많이 나옵니다. 그런데, LED 조명은 형광등이 아닌데, 형광등이라고 부르는군요. FPL 자체가 Fluorescent Parallel Lamp의 약자로 이 자체로 형광등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FPL LED 조명이라고 부르는 것은 맞지가 않지요. FPL은 병렬로 나란히 되어 있는 형광등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정확하게 말하면 FPL LED 조명이 아니라, "FPL 모양을 하고 있는 LED 조명"입니다. 기존의 FPL .. 더보기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에서 RPi.GPIO Python module을 사용한 GPIO 출력 제어, 그리고 Drive Strength에 대하여 2022. 10. 29. 라즈베리 파이는 교육용으로 개발되었다고는 하지만, 대량 생산이 아닌 경우에는 여러 분야에서 외부 하드웨어 제어를 위해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개발자에게는 별도로 컴퓨팅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부담을 줄이고, 필요한 최소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만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완성하게 하는 것이지요. 특히 라즈베리 파이에서 외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자 할 때,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범용 입출력)를 사용하여 간단한 외부 하드웨어를 제어합니다. GPIO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Wikipedia에 잘 나와 있으니 참조하시고, 우리는 라즈베리 파이의 GPIO, 나아가서는 다른 여러 MCU의 GPIO를 사용하는 데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 https://en.wikipedia.org/wik.. 더보기 LED 조명 파워모듈(Power Module) 해부 2022. 6. 20. 지난번에 분해한 LED 조명이 있었죠? 그때 열어 봤던 파워모듈이 어떻게 동작하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기판에는 저항(resistor)이 보이네요. 파란빛의 나란히 2개가 있는 부픔, 그 위쪽으로 원통형 부품, 오른쪽에 보이는 가장 큰 부품은 생긴 것은 모두 다르게 생겼지만, 커패시터(Capacitor; 우리말로는 축전기라고도 합니다.)라는 부품입니다. 가운데에 머리에 띠 두르고 나란히 있는 4개의 부품은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Diode)이구요, 그 아래 투명한 관처럼 생긴 것은 과전류가 흐르면 차단하게 될 퓨즈(Fuse)입니다. 사진에 잘 찍히지는 않았는데 원통처럼 생긴 커패시터 아래에 있는 검은 부품은 파워 서미스터(Power thermistor)라고 부르네요. 마지막 제품이나 결과물.. 더보기 고장난 LED 조명 탐험 2022. 6. 3. 제가 일하는 사무실에 LED 조명 몇 개가 고장이 났습니다. 조명이 안 들어 오는 것이지요. 새것으로 교체하면서 고장 난 조명들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살펴본다고 뭐 고장 난 조명들은 쓰레기통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사실이 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냥 호기심이지요. 다운라이트(Down Light)라고 부르는 형태의 LED 조명입니다. 각각 앞쪽과 뒤쪽으로 놓고 찍은 사진인데, 뒤에 달려 있는 것이 파워모듈(Power Module)입니다. 파워모듈은 형광등(Fluorescent Light)에 사용하는 안정기(ballast)와는 역할이 차이가 있습니다. LED는 직류(DC; Direct Current)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변전소에서 우리집으로 전달되는 교류(AC; Alternating Current)를 .. 더보기 폐품의 재활용 - 보조배터리팩 회로를 재활용한 충전식 손전등 만들기 2022. 5. 14. 폐품 보조배터리팩을 살펴보면서 너무 사설을 길게 끈 것 같습니다. 너무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었을 것 같네요. 앞으로는 쓸데없이 길게 설명을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폐품이 된 보조배터리팩을 분해도 해 보았고요, 내부는 알 필요 없이 블랙박스(Black Box)로서 활용하기 위해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그럴 필요까지는 없을 던 것 같은데 말이죠. 처음에는 그냥 수명 다한 배터리 교체하고 적당한 새 케이스 찾아 사용하려고 했었는데, 5V 출력을 활용해서 고휘도 LED를 밝혀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충전할 수 있는 손전등이 되는 것인데요. 우리의 블랙박스 회로의 5V 출력에 전에 만들어 놓았던 LED 모듈 연결하면 되겠지요. 배터리는 18650 리튬이온 배터리 2개를 병렬로.. 더보기 폐품의 재활용 - 보조배터리팩(External Battery Pack) 더 살펴 보기 2022. 5. 11. 지난 포스트는 회로도를 읽는 것을 위해 잠시 하던 이야기를 벗어나서 GND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계속해서 살펴보던 폐품 보조배터리팩(External Battery Pack)을 계속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조배터리팩 회로기판의 3.7V 전지가 연결되었다고 가정하고 3.7V를 인가했을 때, 5V를 출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내친김에 일전에 만들어 두었던 LED 모듈을 연결을 해 보았습니다. 5V 전원으로 만들었던 LED 모듈을 켜면 약 160mA가 소모되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런데 여기에서는 3.7V 전원을 보조배터리팩 회로를 통해서 공급했더니 약 310mA 소모가 되네요. 전압을 변환하는 것도 에너지 변환의 한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림에서 공급되는 전력(Power)과 LED에서 소모되는 .. 더보기 Ground(그라운드)란 무엇인가 2022. 5. 7. 아무리 취미라지만 회로를 다루면서 Ground(그라운드)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지 않고 넘어갈 수가 없네요. 흔히 GND라고 표시를 합니다. Ground는 영어로 땅이라는 뜻인데, 회로와 땅바닥이 무슨 관계가 있다는 것일까요?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땅은 모든 높이의 기준이 됩니다. 회로에서도 모든 전압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회로의 어떤 부분의 전압에 얼마라고 말하는 것의 기준은 GND로부터의 전압입니다. 물리적인 높이가 상대적이듯, 전압의 크기도 상대적인데, 그 기준을 여기로 하자는 것이 GND인 것이죠. 또 이것을 GND로 부르는 것은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전류도 땅을 향하여 흐르기 때문입니다. 벼락(벼락도 전기인 것은 다 아시죠?)이 땅에 떨어지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 이 세상..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