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빵판? 브레드보드 (Breadboard) 2022. 3. 30. 전자회로를 설계하고자 할 때에는 무조건 만들기 시작하지는 않습니다. 머리 속으로 생각한 아이디어가 예상하는 대로 잘 동작할지, 아니면 좀더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 간단하게 회로를 꾸며 실험을 하기도 합니다. 이 때, 납땜을 하거나 PCB를 제작하거나 하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도 더 들게 됩니다. 이 때 별다른 도구 없이 부품과 전선만으로 회로에 대한 실험을 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브레드보드(Breadboard)입니다. ‘빵’이라는 뜻의 브레드(Bread)와 ‘판’이라는 뜻의 보드(Board)로 흔히들 “빵판””빵판” 하며 부릅니다. 왜 브레드보드인지는 어원을 정확히 찾을 수가 없네요. 아마 빵을 놓고 자르는 도마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그런 모양입니다. 뭐 그런데 그것을 우리에게는 크게 .. 더보기
세면기 배관 가림 도기 다시 설치 2022. 3. 28. 무엇이든 조립은 분해의 반대 순서입니다. 수전 교체한다고 뜯었던 배관 가림 도기 다시 붙입니다. 분해의 반대. 그런데 사진을 찍지를 못했습니다. 사진을 찍지 못했다고 다시 뜯었다가 붙일 수는 없습니다. 우선 자리를 잘 잡을 수 있어야 합니다. 아래에 무엇을 받쳐 보든지 힘이 덜 드는 방향을 찾아봅니다. 풀었던 나사부터 체결합니다. 나사를 체결하여 도기가 벽에 걸려 있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야 실리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나사는 세게 조이지 마세요. 플라스틱 보조물들 깨질 수 있습니다. 아저씨는 사실 하나 깨 먹었습니다. 도기를 위쪽으로 바짝 달라붙도록 자리를 잡아 보세요. 양쪽에 나사를 조이기만 하면 도기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벽에 걸리 있는 상태가 됩니다. 실리콘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힘을 줍니다... 더보기
욕실 세면기 수전 교체 2022. 3. 27. 욕실 세면기의 수전을 교체해야 합니다. 부랴부랴 욕실 세면기 수전을 사왔습니다. 우선 기존 수전을 제거해야겠습니다. 먼저 호스를 풀어줍니다. 밸브 잠그는 거 잊지마세요. 스패너를 이용해서 수전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압 호스를 풀어냅니다. 호스가 커넥터를 풀 때 함께 돌지 않도록 손으로 잡고 푸시는 것이 좋습니다. 세면기 물내림 팝업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위를 풀어 냅니다. 별도로 공구 필요 없이 손으로 풀 수 있습니다. 손으로 살짝 잡아 주면 빠지게 되어 있습니다. 위쪽에 있는 연결 부위도 똑같이 풀어 줍니다. 그러면 요렇게 빠질 수 있습니다. 이젠 수전을 세면기에서 분리를 해 주어야 합니다. 세면기 아래에서 올려다 보면, 길게 생긴 너트(Nut)라고 할까요. 보일 것입니다. 풀어 주세요. 스패너로 돌리.. 더보기
욕실 세면기 아래로 물이 세요 - 하부 배관 가림 도기 해체 2022. 3. 26. 욕실 세면기 아래로 물이 떨어지네요. 세면기 어딘가에서 물이 세는 모양입니다. 아저씨네 집에 있는 욕실 세면기는 이렇게 생겼는데, 어디가 세는지를 보려면 배관을 가리고 있는 저 도기를 뜯어야 하는데, 정말 암담합니다. 옆집아저씨는 이런 거 할 줄 아는 사람 아닌데, 아줌마가 한마디 하시는군요. "남자가 그런 것도 못해?" 어떻게 뜯을까 고민하다가 일단 덤벼 봅니다. 이렇게 글로 남겨 두면 저와 같은 누군가는 또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요. 아저씨는 원래 이런 거 잘 할 줄 아는 사람은 아니지만, 혹시나 과정을 남겨 두면 누구든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여 남겨 봅니다. 옆 부분에 보면 이렇게 생긴 것이 있는데, 그냥 뚜껑입니다. 힘주어 빼면 빠지는군요. 그 안에 있는 것을 보니 나사머리인 모양입니다... 더보기
저항의 실체, 저항기(Resistor) 2022. 3. 23. 저항, 저항 말은 많이 했는데, 회로에서 실제로 전류를 조절하게 하는 저항을 가지는 실제 부품에 대해서는 이야기할 기회가 없었네요. 저항이 필요하다고 전구를 붙일 수는 없겠지요. 이번에는 실체를 가진 부품, 저항기(Resistor)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저항기(Resistor)는 그냥 단순히 저항이라고도 부릅니다. 영어로는 저항이 Resistance, 저항기가 Resistor로 구분이 되지만, 평소에는 우리는 사실 저항기, 저항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요. 저항기는 저항을 가지는 부품입니다. 단순하지요. 앞으로 특별히 의미를 별도로 부여하지 않는다면, 저항이라고 하면 저항을 가진 부품, 저항기를 의미한다고 보면 됩니다. 여러 가지 모양이 있을 수 있지만, 흔한 것은 사진과 같은 모양입니다. 저항기가.. 더보기
LED를 켜라 2022. 3. 19. 무슨 영화 제목 같네요. LED가 정방향바이어스(Forward Baised)가 되면 LED를 켤 수 있다고 했었죠? 그렇다고 무작정 전기만 연결한다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한마디로 잘 켜야 합니다. LED를 켜기 위한 조건들을 모두 한 번 나열하여 보겠습니다. LED는 정방향바이어스(Forward Biased) 되어야 한다. LED의 정방향전압(Forward Voltage)보다 높은 전압원이 필요하다. 원하는 정방향전류(Forward Current)를 만들어야 한다. 앞선 포스트에서 이미 다 언급한 내용이지만, 이렇게 해 놓으니 괜히 어렵게 보이지요? LED를 잘 켜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1번과 2번은 어렴풋이 알 것도 같습니다. 그러면 3번에 있는 원하는 전류는 어떻게 만들까? 옴 선생님의.. 더보기
LED의 이해 2022. 3. 16. 어떤 부품을 사용하기에 앞서서는 그 부품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를 하여야 합니다. 충분히라는 말이 애매하기는 하지만, 어쨌든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는 알아야 부품을 충분히 사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엇을 하든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는 알아야 하지요. 그럼 LED를 충분히 자유롭고 안전하게 사용할 만큼만 이해를 해 보도록 합시다. 지금부터 살펴볼 부품은 빛이 필요한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는 발광다이오드입니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다이오드(Diode)라고 불리는 반도체 부품의 일종입니다. Di-라는 접두어는 2를 나타내는데, 2개를 붙여서 만든 반도체 부품이라는 의미입니다. 위의 사진에서 왼쪽에 제가 가지고 있던 고휘도 백색 LED입니다. Through-ho.. 더보기
LED, 전구를 밀어내다 2022. 3. 12. 효율(Efficiency)이라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효율이 높은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라는 말도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말입니다. 전구는 전기로부터 빛을 만들지만 동시에 우리가 원하지 않는 열이라는 것도 만들어 냅니다. 전구로부터 얻고자 하는 에너지가 열에너지일 수도 있겠지만 그런 경우에는 원치 않는 빛이라는 손실이 존재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에너지로 100% 바꿀 수 았다면 정말 행복하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 것이 존재한다면 아마 이 세상의 엔지니어들은 일거리가 없겠지요. 전구를 밀어내고 전구가 있던 자리를 대체하는 반도체가 있습니다. 모르는 사람 빼고는 모두 알고 있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입니다. 예전에는 전자 .. 더보기

728x90
반응형